그동안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식품 가격이 급등했었는데요. 최근 식량 가격 상승세가 꺾이면서 앞으로는 커피와 설탕 가격 등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밀 가격은 예측이 안되는 상황입니다.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커피·설탕 가격 하락 전망
농업 전문은행 라보뱅크가 내년 농산물 가격이 하락해 식료품 인플레이션이 완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네덜란드 최대 농업협동조합은행인 라보뱅크는 15일 보고서를 내고 내년 전망을 이같이 제시했습니다. 공급 측면에서 각국의 농업 생산 능력이 확대됐고, 내년 기후도 작황에 유리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라보뱅크는 고금리와 높은 물가 수준 때문에 내년 식료품 수요는 소폭 감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과 공급망 혼란, 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며 식품 가격은 급등했습니다. 그러다 최근에는 식량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였는데요.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매월 발표하는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올해 1월 130.2에서 지난달 120.6까지 내려앉았습니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평균값(143.7)에 비해 19% 하락했습니다.
라보뱅크는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농가가 생산력을 늘렸기 때문에 내년에 커피 생두, 옥수수, 대두, 설탕 등의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남미 지역에선 브라질의 대두 생산량이 내년에 더 늘어날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내년 대두 초과 공급 규모는 1억6300만t으로 추산했습니다.
콜롬비아와 브라질의 커피 생두 생산량도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올해 이상 기후 때문에 작황이 부진했지만 내년에는 안정화될 것이란 설명입니다.
지난 9월 태국의 설탕 생산량은 기후 조건이 완화하면서 수확량이 많이 늘어난 결과,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중남미 지역에서도 연평균 강우량이 증가해서 작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밀 가격 전망
다만 밀 가격은 러시아의 행보에 따라 가격이 정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올해 러시아의 밀 농사는 풍작이었지만 아르헨티나, 호주 등의 밀 수확량은 가뭄 등의 영향으로 5년 연속 수요량을 넘어서지 못했습니다. 이런 현상은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내년에는 세계 각국이 러시아산 밀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러시아가 밀을 무기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기사출처: 한국경제)
이전뉴스: “일본 경제 전망 (3분기 역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