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에 유난히 원달러 환율 변동이 심했습니다. 큰 폭으로 올랐다가 다시 큰 폭으로 떨어지는 등 민감한 반응으로 보이고 있는데요.
원달러 환율의 변동폭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와 원달러 환율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동치는 달러 환율
원달러 환율이 이달 들어 하루평균 10원 넘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의 대규모 순유입과 순유출이 번갈아 나타낸 데다 시장이 글로벌 긴축의 방향 전환 가능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2일 한국은행과 서울외국환중개 등에 따르면 지난 1~10일 하루평균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폭은 평균 10.9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10월 변동폭이 5.80원인 것을 감안하면 9월 3.50원을 기록한 후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전일 대비 변동률은 10월 0.43%에서 11월 1~10일 0.82%로 확대됐습니다. 9월(0.26%)에 비하면 두 달 새 세 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달러 대비 통화 가치의 변동률은 주요국에 비해서도 큰 편입니다. 10월 기준 달러는 0.29%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일본 엔은 0.33%, 유로 0.36%, 영국 파운드는 0.39%, 호주달러 0.51%였지만 모두 원화의 이달 변동률보다 작았습니다.
원화 변동성이 커진 이유
이달 들어 원화 변동성이 커진 것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 글로벌 이슈와 공매도 금지로 인한 외국인 자금 이동 등 국내 이슈가 겹친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1일 Fed가 FOMC에서 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후 원달러 환율은 2일과 3일 각각 14.40원, 20.50원 하락했습니다. 긴축 종료 신호가 나타나면서 위험자산인 원화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6일 공매도 금지가 시행되면서 외국인 자금이 7000억원 넘게 순유입되자 환율은 추가로 25.10원 하락해 달러당 1200원대로 내렸습니다.
다음날인 7일 외국인 자금이 순유출로 전환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10원 넘게 올랐고, 10일에는 제롬 파월 Fed의장이 긴축 장기화를 시사하면서 6.70원 더 상승했습니다.
종가 기준 변동폭이 0.50원에 그친 9일에도 장중 저가와 고가 간 변동폭은 15원에 달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전망
최근 변동폭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만 한은은 “환율을 둘러싼 환경은 작년에 비해 낫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박병걸 한은 국제국 차장은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심리가 작년에 비해 덜하고 국내 외환시장의 달러화 수급 상황도 나아졌다”며 “환율 변동성이 우려만큼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상수지가 개선 흐름을 보이는 것도 외환시장 변동성을 낮추는데 기여할 요인으로 꼽힙니다.
기초체력(펀더멘털) 문제로 인한 원화 수급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사출처: 한국경제)
이전뉴스: “루이비통 리폼, 상표권 침해“